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학사
[학사] 2025학년도 제1학기 대학원 각 학위과정 영어시험 합격자 명단 제출 안내
[학사] 학생 학적상 영문성명 변경 방법 안내
[일반대학원] 2025년 8월 졸업확정여부 조회 안내
[일반대학원] 2025학년도 제2학기 3대학원(이화여대, 연세대, 서강대) 학점교류 실시 안내
2025학년도 후기 일반대학원 신입생 학번조회 안내
2025
[학사] 2025학년도 제1학기 대학원 각 학위과정 영어시험 합격자 명단 제출 안내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2025학년도 제2학기 한림대학교 학점교류 수강신청 안내
2025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장학금 시행 안내 바로가기
[충주학연구소] 충주학 연구 제5호 논문모집 홍보
「제5회 대학(원)생 대상 이민정책연구 논문공모전」홍보
2025학년도 대학원 융복합 프로젝트 예비 장학생 선정결과
[대학원]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 미국 대학원 유학 장학생 선발 안내
[대학원]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 포스트닥 연구비지원 장학생 선발 안내
[인재개발원] 25년 8월 진로취업교육 일정 안내 바로가기
[서강대학교] 2026년도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 AI 융합 교육프로그램 파견 교육생 추가모집 홍보
[글로벌 대기업]법무실,법무팀 소속_사내변호사(정규직)모집
[반포잠원교육지원센터] 『AI와 천 개의 마음이 만나는 예술』 전시 예술 강사 인력 협조 요청
[인재개발원/채용상담회]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캠퍼스 JOB TALK : 9.30.(월), 신공학관
[인재개발원/채용설명회] CJ올리브네트웍스 2024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설명회 : 9.24.(화), 아산공학관
2024
<코로나19 감염 예방 수칙> 안내 바로가기
[중앙도서관] 도서관 정보검색·활용교육(2025) 비교과 과정(사이버캠퍼스) 안내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2025년 이공계대학 연구원 대상 KIRD 조사패널 모집 안내 협조 요청
[NKDB 남북사회통합교육원] 2025년 9월 개강 아카데미 홍보 요청
[서울국제법연구원] 2025 인도태평양 전략 국제회의 개최 안내 (8.22. 오전 10시, 한국프레스센터)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IMO SMART-C WOMEN 콘퍼런스 초청(10/21)
글로벌 여성리더 양성을 위한 꿈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이 함께 합니다.
학사일정
Academic Calendar
강의시간표/계획안
Lecture timetable/syllabus
입학안내
Admission Guide
사이버캠퍼스
Cyber Campus
이화포탈
Ewha portal
중앙도서관
Central Library
인터넷 증명발급
Internet certificate issuance
인재개발원
Human ResourcesDevelopment Center
대학원학생회
Graduate Student Council
대학원동창회
Graduate alumni
본교,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에서 2년 연속 ‘최고등급(S등급)’ 획득
자기설계 Module 교과목 도입, 부·복수전공제도 개선 등 전공 선택 유연성 확대 성과 인정받아 본교는 교육부가 발표한 ‘2025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교육혁신 부문에서 2024년 성과 평가에 이어 최고 등급인 S등급을 2년 연속 획득하며 교육혁신 선도대학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이화여대는 인센티브 50억 6300만 원을 포함해 총 101억 2700만 원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평가에서 △전공 선택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학생 주도 학습을 지원하는 자기설계 Module 교과목 운영 △진로‧취업 연계를 위한 전공별 진로지도 체계 구축 △AI 기반 지능형 학생지원시스템(E-벗) 운영 △미래형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 및 기초 소양 인증제 추진 △교육혁신 교과목 개발 및 교원 참여 활성화 △학내 구성원 참여 중심의 교육혁신 소통 체계 구축 등이 주요 성과로 꼽혔다. 본교는 2009학년도 스크랜튼대학 자유전공 도입과 2018학년도 정시모집 계열별 통합선발제도를 선제적으로 시행하며 전공자율선택제의 선도 모델을 구축하며 고도화하는 등 미래 사회 수요에 대응하는 융복합 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학생의 진로 탐색과 전공 선택 유연화의 일환으로 부전공 및 복수전공 신청 시기를 1학년 2학기로 앞당겨 학생들의 조기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이 직접 단기강좌를 조합해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자기설계 Module 교과목’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학생 주도 학습 기반을 강화했다. 또한 전공자율선택생들을 위한 겸임교원 연계 전공탐색 지도, 선배 멘토링 등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진로·취업 지원체계를 고도화한 성과도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졌다. 전공별 사회진출 데이터를 분석해 체계적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2025년에는 AI 기반 지능형 학생지원시스템 ‘E-벗’ 서비스를 오픈하여 맞춤형 진로·학사 지원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교는 기초소양을 바탕으로 한 미래형 융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융복합 교양교육체계 개발, 실천형 나눔 인성교육, 기초소양 인증제 등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추진하며,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체계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또한 겸임교원을 활용한 전공 탐색 지도를 진행하고 교육혁신에 참여하는 교원 확대 방안 등을 마련하여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대학 전체의 교육혁신 추진력을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 수렴 채널을 통해 소통 체계를 구축하며, 성과관리 조직을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향숙 총장은 “이화여대는 세계적 수준의 대학 교육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미래지향적인 학사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기술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포용적 혁신을 바탕으로 한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고교-대학연계 전공탐색 프로그램 하이-이화(High-EWHA, Hi-EWHA) 개최
예비 이화인을 위한 고교-대학 연계 전공탐색 프로그램 ‘하이-이화(High-EWHA, Hi-EWHA)’가 2025년 7월 31일(목) ECC 이삼봉홀과 교내 곳곳에서 개최됐다. 입학처(처장 배현아)는 대학생활 및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본교 진학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2012년부터 ‘하이-이화’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5년 만에 본교 캠퍼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 전국 약 300여 명의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운영됐다. 행사는 배현아 입학처장의 환영사로 문을 열었고, 최윤정 입학정보부처장의 학교 소개와 함께 이화로사 회장 한채영(국어국문 24학번), 법학전문대학원 조예람(독어독문전공·23년졸) 학생이 ‘슬기로운 이화 생활’을 주제로 이화에서의 대학생활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참가 학생들은 사전 신청시 선택한 학과·전공의 교수 및 재학생 선배와의 전공별 멘토링, 캠퍼스 및 랩(실험실) 투어에 참여했다. 총 11개 학과·전공 교수(류소진(중어중문학), 조무형(정치외교학), 김유미(행정학), 우진희(경제학), 최태영(물리학), 이재영(교육공학), 양창원(생물교육), 임재웅(화학교육), 정혜정(지구과학교육), 신수진(간호), 장원경(스크랜튼)) 들의 주제 특강 및 학과 소개가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학과·전공별 재학생 멘토들이 동아리, 장학금, 취업과 진로 등 대학 생활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전하고, Q&A를 통해 학과 관련 궁금증을 해결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본교 중앙도서관을 포함한 캠퍼스 투어(인문)와 랩 투어(자연) 또한 실시되어 참여 학생들에게 대학 생활의 이모저모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참가 학생들은 설문을 통해 실제 이화여대 캠퍼스와 대학 생활을 직접 경험해보며 전공과 진학·진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교수진과 재학생의 친절한 안내, 풍성한 프로그램 구성 덕분에 본교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반응 또한 많았다. 박선영 입학사정관의 입학전형 안내를 통해 진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으로 이날 행사는 마무리됐다. 입학처는 오는 9월 4일(목)부터 수시모집 확대 상담을 운영하는 등 2026학년도 입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http://admission.ewha.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교, 중앙사회서비스원과 사회서비스 정책·인재양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
사회서비스 전문인력 양성과 정책연구로 포용사회 실현에 기여하고자 사회서비스 정책연구, 인재양성, 종사자 지원 프로그램 등에서 협력 본교는 7월 30일(수) 본관 접견실에서 중앙사회서비스원과 사회서비스 정책 추진과 해당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모든 국민이 기본적인 사회서비스를 보장받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정책 연구기관과 현장 실무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양 기관은 △사회서비스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의제 개발 △사회적 가치 실현 및 사회서비스 인재 양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사회서비스 종사자 역량 강화 지원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향숙 총장은 "이번 협약은 사회서비스 정책과 현장을 아우르는 실질적 협력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포용과 돌봄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이화의 인재들이 사회서비스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전문가로 성장하여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사회서비스원 조상미 원장은 "사회서비스 '혁신'과 '품질향상'은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구현을 위한 핵심 과제"라며, "양 기관이 보유한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유기적 협업을 통해 다학제간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사회적 가치 실현의 지속가능성이 크게 제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본교 안동인 기획처부처장(기획), 하은희 이화글로벌사회공헌원장, 최정아 학생처장, 박정수 연구·대외부총장, 이향숙 총장, 중앙사회서비스원 조상미 원장, 최신광 부원장, 김삼섭 경영지원실장, 이효진 운영지원부장, 원일 경영기획부장, 이대영 혁신기획부장 본교는 사회복지학,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등 사회서비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과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적 진선미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한 나눔과 공존의 가치는 사회서비스 분야의 핵심 정신과 부합해 의미 있는 협력 시너지가 기대된다. 이번 협약을 통해 본교는 사회서비스 분야의 체계적인 인재 양성과 정책 연구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미래 사회의 리더가 될 학생들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본교, 독일 프라운호퍼 IBMT와 신약 후보 물질 심독성 평가 AI 플랫폼 공동개발 착수
본교가 독일의 세계적 응용과학연구소 프라운호퍼 Institute for Biomedical Engineering(IBMT) 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5 한-독 2+2 산학연 공동연구사업’에 선정됐다. 양국 정부가 공동 지원하는 대규모 국제 연구 프로젝트인 본 사업 선정을 기반으로 본교는 향후 한국과 독일 간 과학기술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교 인공지능전공 최장환 교수와 독일 프라운호퍼 IBMT 헤이코 짐머만(Heiko Zimmermann) 소장은 총 18억 7천만 원 규모의 연구비를 확보해 오는 10월부터 3년간(2025.10~2028.9) 3D 심근 오가노이드(심장세포 유사체)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차세대 약제 심독성 평가 플랫폼 공동개발을 추진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프라운호퍼 IBMT의 비접촉 광학 계측 기술로 iPSC 기반 3D 심근 오가노이드의 수축 동역학을 실시간 추적하고, 이를 본교 Medical AI & Computer Vision Lab이 개발하는 비지도학습 기반 AI 모델로 노이즈를 제거·해석해 약물 용량‑반응 곡선을 자동 추정하는 심독성 예측 솔루션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신약 후보 물질의 심독성 위험을 임상 이전 단계에서 고속·고정밀로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왼쪽부터) 본교 조윌렴 연구처장, 박정수 연구·대외부총장, 피터 호프만 프라운호퍼 IBMT 행정실장, 이향숙 총장, 헤이코 짐머만 프라운호퍼 IBMT 소장, 조인호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단장, 최장환 교수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지난 4월 8일(화)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서울에 ‘Ewha–Fraunhofer RegMed AI Hub’를 설립해 공동 연구 거점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향숙 총장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 환경 조성 및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업이 연구개발 결과의 실용화 및 기초·원천기술의 상용화에 앞장서고, 신약 개발 시장 진입의 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헤이코 짐머만 소장은 “줄기세포 크라이오뱅킹(Cryobanking)과 스페클 기반 센싱(Speckle-based sensing) 기술이 이화여대의 첨단 AI 역량과 만나면 EU‑아시아 양대 시장이 필요로 하는 글로벌 표준 플랫폼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본교(주관·AI 알고리즘 총괄)를 비롯해 ㈜바이오솔빅스 (3D 오가노이드 제작·표준화), 고려대 의과대학 (조직병리 및 임상 자문), Dt&CRO (전임상 동물 검증)를 비롯해 독일 프라운호퍼 IBMT (광학 계측·줄기세포 크라이오 플랫폼), Innovitro GmbH (3D 스페로이드 배양 공정)가 참여해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줄기세포나 장기 기원 세포를 3차원 배양해 만든 장기 유사체인 오가노이드 제작과 표준화 공정에는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단장 조인호) 과제를 수행하는 국내 바이오테크 기업인 ㈜바이오솔빅스가 참여해 실용화에 앞장선다. 양 기관의 협력은 우리나라 첨단재생의료분야 전주기 R&D사업을 지원하는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자 교류 및 협력지원을 통해 성사되었다. 최장환 교수는 “오가노이드·AI 융합을 통해 신약 후보 물질의 심독성 위험을 임상 이전 단계에서 고속·고정밀로 예측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며 기대감을 표했다. 조인호 사업단장은 “최근 ‘AI 바이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AI 연구자, 사업단 과제에 참여 중인 바이오 기업 및 세계적인 응용과학연구소 간의 협력은 우리나라가 AI 기반 혁신적 첨단재생의료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사업단은 2026년 상반기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과 함께 국제 워크숍을 개최하여 연구 데이터 및 기술을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2027년에는 ‘AI–Organoid Cardiotoxicity Challenge’를 열어 전 세계 연구자와 함께 공개 데이터셋을 활용한 알고리즘 성능 검증을 진행하고, 2028년까지 전임상 검증을 마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솔루션을 국내외 제약·CRO 기업에 기술이전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신약 개발 시장에 진입에 안착하는 것을 목표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이번 협력은 첨단재생의료와 AI-디지털 헬스케어 융합 분야에서 한국과 독일의 과학기술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심독성 평가의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원 보직발령사항(2025. 8. 1.자)
교원 보직발령사항(2025. 8. 1.자) 보직명 성명 소속 국제대학원장/스크랜튼대학장 박인휘 국제학전공 통역번역대학원장 최미경 통역번역학과 교육대학원장 신상근 영어교육과 디자인대학원장 주보림 패션디자인전공 공연예술대학원장/음악대학장/공연문화연구센터소장 곽은아 한국음악과 임상치의학대학원장 김선종 의학과 인문과학대학장 최혜원 영어영문학부 자연과학대학장 정병문 화학·나노과학과 조형예술대학장/이화크리에이티브아트센터장 문경원 서양화전공 사범대학장/교육연수원장/영재교육원장 박은혜 특수교육과 인재개발원장/현장실습지원센터장 조윤경 불어불문학과 기숙사관장 김지혜 도자예술전공 학생처부처장/학생상담센터소장 이승혁 행정학과 대외협력처부처장 박은영 미술사학과[대학원] 대학원음악치료학과장 유가을 음악치료학과[대학원] 대학원에코과학부장/대학원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주임교수 김유섭 에코과학부[대학원] 대학원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주임교수 김영훈 한국학과 대학원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장/소프트웨어학부장/컴퓨터공학전공주임교수/컴퓨터공학과장 민동보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언어병리학과장 설혜윤 언어병리학과[대학원] 대학원스마트큐레이션협동과정주임교수 김동은 의류산업학과 대학원의과학과장/의과대학부학장(교무)/직업환경의학교실주임교수/의과대학의학과장 최경희 의학과 대학원약학과장/제약산업학과장 우현애 약학과[대학원] 통역번역대학원부원장 허지운 통역번역학과 통역번역대학원통역번역학과장 이주리애 통역번역학과 경영전문대학원부원장 최승호 경영학부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부원장 안정훈 융합보건학과 미디어인터랙션디자인전공주임교수/영상디자인전공주임교수 강수진 디자인학부 인문과학대학부학장 임석원 독어독문학과 영어영문학부장 황수경 영어영문학부 국어국문학과장/호크마교양대학사고와표현교육실장 김승우 국어국문학과 불어불문학과장/프랑스어권지역문화연구소장 최요환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장/독일어권문화연구소장 진일상 독어독문학과 철학과장 한충수 철학과 기독교학과장 박희규 기독교학과 사회과학대학부학장 김수영 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장 안순태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행정학과장 이근주 행정학과 사회학과장 최샛별 사회학과 자연과학대학부학장/이화통계연구소장 유재근 통계학과 수학과장 이재혁 수학과 통계학과장 김미정 통계학과 건축학과장/건축학전공주임교수 강미선 건축학과 조형예술대학부학장 유윤석 디자인학부 서양화전공주임교수 이창원 서양화전공 대학원영상예술협동과정주임교수 이찬웅 이화인문과학원 초등교육과장 조현희 초등교육과 교육공학과장/멀티미디어학연계전공주임교수 소효정 교육공학과 영어교육과장 박시영 영어교육과 국어교육과장 권순희 국어교육과 수학교육과장 조영성 수학교육과 신산업융합대학부학장/스마트리빙연구소장 안성복 융합보건학과 식품영양학과장 정승연 식품영양학과 의과대학부학장(연구) 한기환 의학과 미생물학교실주임교수 임재향 의학과 의학교육학교실주임교수 권복규 의학과 내과학교실주임교수 정혜경 의학과 피부과학교실주임교수 변지연 의학과 외과학교실주임교수 정순섭 의학과 비뇨의학교실주임교수 김광현 의학과 흉부외과학교실주임교수 김관창 의학과 치과학교실주임교수 김민지 의학과 재활의학교실주임교수 양서연 의학과 호크마교양대학부학장 이동환 통계학과 호크마교양대학인성교육실장 안선희 기독교학과 호크마교양대학글로벌소통교육실장 황준호 영어영문학부 스크랜튼학부장 유성진 스크랜튼학부 국제학부장/국제학전공주임교수 정누리 국제학전공 자연사박물관장/에코과학연구소장 김은수 에코과학부[대학원] 이화역사관장 정혜중 사학과 대학건강센터소장 최혜영 의학과 이화미디어센터주간 방세훈 경제학과 목회상담센터소장 정희성 기독교학과 기록관리교육원장 정연경 문헌정보학과 국제회의센터소장 최영준 국제사무학과 한국문화연구원장 김선희 철학과 기후ㆍ환경변화예측연구센터소장 최용상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글로벌식품영양연구소장 김봉수 식품영양학과 세포항상성연구센터소장 김태수 생명과학과[대학원] 아시아여성학센터소장 김선혜 여성학과[대학원] 형광코어이미징분석센터소장 강동민 생명과학과[대학원] 환경블라인드스팟연구센터소장 손아정 환경공학과 이화뮤직웰니스연구센터소장 정현주 음악치료학과[대학원] 국제지역연구소장 Brendan M. Howe 국제학과 통역번역연구소장 장애리 통역번역학과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장 차희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이화실험동물센터소장 오구택 생명과학과[대학원]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 소장 이수영 생명과학과[대학원] 식품산업융합기술연구소장 이진규 식품생명공학과 기계바이오공학융합연구소장 신태훈 휴먼기계바이오공학과 교육과학연구소장 조일현 교육공학과 교과교육연구소장 이용하 수학교육과 학교폭력예방연구소부소장 최현주 교육학과[교육대학원] 스포츠과학연구소장 이규완 체육과학부 의과학연구소부소장 송도경 의학과 글로벌 AI 신약개발 연구센터소장 최선 약학과[대학원] 신약개발연구코어센터소장 권영주 약학과[대학원]
경영대학·경영전문대학원 4회 연속 AACSB 인증 획득
본교 경영대학과 경영전문대학원(학장·원장 김봉진)이 세계경영대학협회(The 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 of Business, 이하 AACSB)가 부여하는 경영교육인증(Business Accreditation)을 4회 연속 획득했다. 경영대학과 경영전문대학원은 2010년 여대로서는 세계 최초로 경영학전공 학부와 일반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MBA) 전 과정에 걸쳐 AACSB 경영교육인증을 획득했으며, 재인증(2015-2020, 2020-2025)에 이어 이번 인증 획득으로 향후 6년간(2025-2030) 국제적 경영교육인증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AACSB'는 미국의 4천여 경영대학 중 1,700여 대학의 학장들이 모여 만든 협의회로, 미국 내 대학 경영학 교육 품질 향상과 이를 보증하기 위해 1916년 설립되었다. 이후 AACSB는 경영대학이 갖추어야 할 표준을 만들고 이를 충족하는 경영대학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거친 후 인증을 하고 있으며, 2002년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 International, AACSB International)로 개칭한 후 미국 외부의 대학을 대상으로 문호를 넓혔다. 대학 발전 전략, 교수진 역량, 교육과정 우수성, 교육환경 및 학생 우수성 등 15개 항목을 평가해 부여하는 AACSB는 전 세계 16,000개 이상의 경영대학 중 상위 5%에 해당하는 경영대학에 인증을 부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영교육 인증기관이다. 전 세계에서 학부, 일반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등 모든 학위과정에 대해 인증을 받은 여자종합대학으로는 본교가 유일하며, 가장 권위 있고 대표적인 국제 인증으로 본교 경영대학이 최고의 경영교육을 제공하고 있음을 증명해 준다. (왼쪽부터) 본교 최승호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 이준엽 기획처장, 박소라 경영대학 부학장, Chen, Jean J. 교수(영국 University of Kent), Hsu, Ping-Yu 교수(대만 National Central University, AACSB실사단장), 이향숙 총장, Dionne, Shelley 교수(미국 Binghamton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박성연 학사부총장, 박정수 연구·대외부총장, 김봉진 경영대학장·경영전문대학원장, 우용상 경영대학 교수(AACSB인증팀장) AACSB 재인증 연장을 위해 지난 5월 18일(일)~20일(화) AACSB 실사단이 경영대학을 방문하여 심사한 결과 본교는 연구역량, 국제화, 커리큘럼, 교육인프라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실사단은 이향숙 총장과의 평가보고회에서 경영대학 학부생을 비롯해 일반대학원 및 경영전문대학원 재학생의 우수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인터뷰에서 보여준 전공 및 학교생활에 대한 애정과 자신감이 무척 인상 깊었다”고 전했다. 김봉진 경영대학장은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경영교육인증기관으로부터 연속으로 재인증을 받은 만큼 본교 경영대학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것이며, 우리 경영대학은 이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경영분야 글로벌 여성 인재를 계속 배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본교 경영대학은 1964년 창립 이래 경영 관련 제 분야에서 탁월한 실무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글로벌 여성전문경영인 배출을 목적으로, 타 전공과의 연관성을 극대화한 복합강좌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2025년에는 인공지능과 비즈니스 분석 융합교육을 제공하고자 일반대학원에 AI & Business Analytics 석·박사 과정을 신설하는 등 여성리더십 맞춤형·실무중심형 특성화 전략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여성경영자 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여성 인재 양성 분야의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2006년 개원한 경영전문대학원은 첨단 비즈니스 이론과 사례 중심의 교육시스템을 접목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경영 현장에서 오랜 실무 경험을 가지신 경영 관리자를 대상으로 과학적 경영이론과 방법론을 교육하는 정규 박사학위과정(경영학전문박사과정, DBA)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본교 경영전문대학원의 경영학전문박사과정은 국내 최초의 DBA 학위과정으로서, 비즈니스 환경에서 혁신적 경영 솔루션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여 ‘변화와 혁신을 주체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고 있다.